순결한 언어의 등불
㈜한국탑뉴스 송행임 기자 순결한 언어의 등불: 윤동주 김부조(시인칼럼니스트) 한 시대의 문학은 그 시대를 산 사람들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다. 일제감정기의 암울함 속에서 가장 맑고 조용한 목소리로 시대를 건너간 시인이 있다. 바로 윤동주(1917~1945)다. 만주 북간도의 명동촌에서 성장한 그는 어린 시절부터 언어의 훈란을 체감했다. 그 엄혹했던 시절. 학교에서는 일본어가 강요되고 조선의 이름과 말은 지워져 가고 있었다. 그가 '말'과 '이름', '빛'과 '그림자'를 반복적으로 다룬 것은 정체성에 대한 예민한 감각에서였다. 일본 유학 시절에는 식민지 청년의 무력감과 죄책감을 깊이 체험했고. 그것은 "참회록“과 같은 내면 고백의 시편으로 이어졌다. 윤동주의 문학 세계는 외부의 억압과 내부의 성찰이 겹겹으로 포개진 자리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서시'., '별 헤는 밤', '자화상' 등 한국인의 정서를 김이 담은 작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서시'에서는 스스로에게 정직할 것. 타인에게 친절할 것을 다짐하며. 시대의 억압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인간적 소망을 드러낸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